요즘 자주 보는 슈퍼개미 김정환님의 유튜브에서 적정주가를 구하는 방식을 설명하셨어요.
이게 무조건 정답이야~! 이건 아니구요
투자자마다 아마 자신의 적정주가를 구하는 방식이 있겠죠?
하지만 이 분은 오랫동안 투자를 하신 분이고, 꽤 신뢰성이 있는 분이라 생각해요.
또 공식도 간단해서, 주가 대비 기업가치를 간단히 체크해 볼 때 좋아요.
ROE (자기자본이익률)를 사용하여 같은 자본으로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지도 체크하는 공식이에요.
그 외에도 PCR을 이용한 방식 PSR을 이용한 방식등 다양한 방식을 소개해주시더라구요.
요즘 핫한 사경인 회계사님은 RIM을 사용하여 주가를 산정한다고 하셨죠.
RIM을 계산할 수 있는 앱도 나왔더라구요
(유료로! 요즘 참 머리 빨리빨리 돌아가는 사람 참 많아요.)
김정환님은 영업이익에 멀티플을 주는데요.
(화면에서는 멀티플을 ROE로 표현했죠)
쉽게 말해 내가 생각하는 가중치만큼 숫자를 곱해주더라구요.
김정환님 외에도 주식방송을 봐도 전문가들이 멀티플 멀티플 하는 소리를 가끔씩 들을 수 있어요.
사람마다 증권회사마다 생각하는 적정주가가 다른 이유가 이 멀티플 때문이에요.
이거는 개인의 가치관이 개입될 수밖에 없는 영역이라서,
본인이 생각할 때 성장성이 높은 기업이다 싶으면 멀티플을 세게 주는거고,
이 산업은 지지부진 할 것 같다 싶으면 멀티플을 약하게 주는거에요
(곱하는 숫자가 작아지고, 커지는 개념)
김정환님은 ROE를 멀티플로 쓰는데..
여기서 중요한건 이미 산정되 있는 ROE를 곱해주는 것이 아니고
본인이 책정한 멀티플을 곱해주네요.
(헷갈리기는 하는데..)
'코리안리'라는 주식을 예로 들면
영업이익이 평균 2천억원일때, 멀티플을 10을 줘요.
그러면 2천억 x 10 = 2조
2조를 적정한 시가총액으로 보는 거죠.
이 공식에 의하면
현재 시가총액은 9천억으로 저평가 되어 있는 종목으로 보는거에요.
멀티플을 10을 준 이유는 보험사라는 업종+유보율이 높아 안정성 등의 이유에요.
그래서 결론은 멀티플을 어떻게 적용하는 지는,
어느정도 개인적으로 공부해야 할 것 같아요.
이거는 선배 투자자들에게 어느정도 컨닝할 수 밖에 없겠네요.
미국기업은 멀티플 얼마, IT성장주는 멀티플 얼마, 은행업은 멀티플 얼마..
어디 정리를 해둬야 겠어요.
주식을 공부하면 할 수록 느끼는 건데,
주식에서 중요한거는 결국 스토리 인 것 같아요.
이 주식이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느냐에 따라 멀티플을 어떻게 주기도 하고,
미래의 성장성을 상상해서 만들어봐야 하잖아요.
현재의 상황들을 조합해서, 내 생각은 이래~라고 내 나름대로의 이야기를 만들어 내야 해요.
상상력이 풍부해야 투자도 잘 할 것 같아요.
몇년 전만해도 테슬라.. 저거 전기 자동차 몇대나 팔겠어~ 이랬는데
로켓 날리고 빅데이터 미친듯이 수집하고.. 이럴줄 누가 알았겠어요.
상상력의 힘!
오늘도 상상의 나래를 열심히 펼쳐봐야겠어요!
기업의 영업이익은 어디서 확인하는지 보려면?
회사 실적은 어디서 보는거지?DART/컨센선스비교
안녕하세요. 오늘도 열심히 공부하는 초보투자자 썬마마에요. 뉴스를 보다보니, 이번 분기의 삼성전자의 잠정 실적치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고 합니다. 이게 대체 무슨 소리인지.. 나름 주식을
sunmamadiary.tistory.com
'썬마마의 돈공부 > 그 외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가 오를땐, 뭘해야 하나? (0) | 2021.02.22 |
---|---|
경단녀의 국민연금(반환일시금, 임의가입, 추납,크레딧) (0) | 2021.02.17 |
하락장에서는 어떤 투자를 해야 하지? (0) | 2020.08.10 |
미국 배당금을 관리하는 앱 TheRich (3) | 2020.07.15 |
회사 실적은 어디서 보는거지?DART/컨센선스비교 (0) | 2020.07.13 |
댓글